전공 및 교육과정
Busan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cience전공 교육과정
스마트선박제조 나노디그리
교육비전
-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 교육을 중심으로 빠른 인력양성과 배출 및 컴퓨터 분야 IT 기술 중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양성을 목표로 실무기반 교육과정 운영
- 스마트조선 분야 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되어 전문대학 인력양성에 적합한 나노디그리 교육과정의 개발과 효율적인 운영방안 모색
교육목표
- 스마트 선박 제조에 필요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선박 제조 환경에 맞춰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
- 스마트 선박제조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선박 기초 프로그래밍, 선박제조 데이터처리, 선박제조 지능과 기술 등의 직무를 교육하여 빠른 현장 적응과 업무 수행 역량을 보유한 스마트선박제조분야 IT 기술 인력 양성
전공개요
가. 나노디그리 명칭
학과(부)·전공 | 나노디그리명 | 이수학점 |
---|---|---|
컴퓨터학과 | 스마트선박제조 나노디그리 | 9 |
나. 참여대학 및 참여학과(전공) 구성
구성 | 대학명 | 대학 학과(전공)명 |
---|---|---|
주관대학/학과 | 경남정보대학교 | 컴퓨터학과 |
이수요건
- 스마트선박제조 나노디그리 교과목에서 9학점 이상 취득
친환경선박소재 나노디그리
교육비전
- 석유공업화학과 환경안전관리 전공을 바탕으로 선박 기본 전공 이수 후, 선박조립 공정 직무로 진출을 모색, 조선·선박 산업체에서 도장 직무, 현장환경 및 위험물 안전관리 직무에 진출
- 화공에너지공학과 전공 학생을 바탕으로 친환경선박소재 나노디그리 과정을 개발·운영을 통하여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에 의한 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플랫폼 구축
교육목표
-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도장, 친환경 선박소재, 선박 현장 위험물 관리 직무 등 조선에 필요한 인력양성을 목표로 함
전공개요
가. 나노디그리 명칭
학과(부)·전공 | 나노디그리명 | 이수학점 |
---|---|---|
화공에너지공학과 | 친환경선박소재 나노디그리 | 9 |
나. 참여대학 및 참여학과(전공) 구성
구성 | 대학명 | 대학 학과(전공)명 |
---|---|---|
주관대학/학과 | 경남정보대학교 | 화공에너지공학과 |
이수요건
- 친환경선박소재 나노디그리 교과목에서 9학점 이상 취득